프로보 테크닉 1단계는 로봇 제작의 가장 기초적인 단계로, 1단계 부품만 사용하여 다양한 로봇을 조립할 수 있습니다.
1단계는 독립적으로 사용 가능하며, 이후 단계들에서 추가 부품과 결합하여 더 복잡한 로봇을 제작하는 기초가 됩니다.
따라서, 1단계 부품은 이후 단계에서도 반드시 필요한 기본 구성 요소이므로, 다음 단계로 진행하려면 1단계 부품을 잘 보관해야 합니다.
2. 주요 부품
1) CPU보드
로봇의 머리에 해당하며, 코딩 내용을 기억하고 다른 부품들을 제어하는 역할을 해요. ‘프로보 테크닉’의 진행을 위해서는 CPU 보드가 꼭 필요하답니다.
2) 적외선 센서 보드
적외선의 정보를 감지할 수 있는 소자로, 적외선을 송신할 수 있는 송신부와 수신할 수 있는 수신부로 나누어져 있어요.
송신부가 눈에 보이지 않는 빛(적외선)을 발사하고, 물체에 반사되어 돌아오는 빛의 양을 수신부가 감지하여 물체가 얼마나 가까이 있는지 측정할 수 있어요.
3) 스위치 보드
버튼을 누르면 전류가 흐르고, 손을 떼면 전류가 차단되는 ‘누름 스위치’ 종류의 하나예요.
버튼을 눌렀을 때 경쾌한 딸깍 소리가 들려 버튼을 눌렀는지 정확히 인식할 수 있어요.
4) USB 다운로더
레벨 2부터는 컴퓨터와 CPU 보드를 연결하기 위해 USB 다운로더가 필요합니다.
이 케이블을 통해 컴퓨터에 저장된 코딩 내용을 CPU 보드로 전송할 수 있으며, 연결된 동안에는 컴퓨터로부터 전원도 함께 공급받게 됩니다.
3. 주제와 제작되는 로봇은 아래와 같습니다.
1. 노래하는 부엉이 새요
1.1. 노래하는 부엉이 새요 특징
- 프로보 테크닉 1단계(레벨1)의 새요는 불빛을 내며 노래하는 로봇이에요.
1.2. 탐구활동 : 우리 생활 속에 부엉이 모습
- 부엉이 :
올빼미과 부엉이류의 새를 통틀어 이르는 명칭으로 대표적인 맹금류 중 하나예요. 귀엽게 생긴 외모와는 반대로 강한 부리와 발톱을 가지고 있어 작은 동물들을 사냥해요. 올빼미와 비슷하지만 귀가 있으면 부엉이, 귀가 없으면 올빼미랍니다.
- 올빼미 :
올빼미는 부엉이와 비슷하지만 귀가 없는 부엉이랍니다.
- 수리부엉이 :
수리부엉이는 올빼미과의 큰 부엉이 종류로, 크고 강한 부리를 가지고 있어 작은 동물을 사냥하고, 어두운 환경에서도 잘 사는 특징이 있어요.
1.3. 동작 영상
2. 비행기 로봇 에어크래프트
2.1. 비행기 로봇 에어크래프트 특징
- 프로보 테크닉 1단계(레벨1)의 에어크래프트는 프로펠러를 회전하는 비행기 로봇이에요
2.2. 탐구활동 : 프로펠러를 사용한 비행체
스포츠에 주로 사용되는 작고 가벼운 경비행기나 헬리콥터는 프로펠러를 사용하는 대표적인 비행체예요. 프로펠러는 폭이 좁고 약간 비틀린 모양의 날개로, 비행체에 장착하면 앞으로 나가는 힘(추진력)을 발생시켜요. 그리고 프로펠러의 날개 수와 크기, 비틀린 정도에 따라 추진력의 크기가 달라지고, 프로펠러가 회전하는 방향에 따라 비행체가 움직이는 방향이 달라집니다.
2.3. 테크닉 이야기
1) 로봇의 구조
2) 프로보 테크닉 구조
- 회로
사람의 신체기관과 같이 각종 기능들이 들어 있는 전자회로 하드웨어를 말해요.
- 기구
사람의 뼈와 같은 기능으로 로봇의 형태를 만들어주는 각종 프레임을 기구라고 해요.
- 프로그램
사람의 뇌와 같은 기능으로 눈에 보이지 않지만, 여러 가지 며열ㅇ을 내려 로봇을 움직일 수 있게 하는 소프트웨어를 말해요.
2.4. 동작 영상
3. 장애물 감지 로봇 범퍼카
3.1. 장애물 감지 로봇 범퍼카 특징
- 프로보 테크닉 1단계(레벨1)의 범퍼카는 장애물에 부딪히면 스위치가 눌려져 장애물의 위치를 판단하고, 다른 방향으로 피해 이동하는 장애물 감지 로봇이에요.
3.2. 탐구활동 : 충격을 줄여주는 '범퍼'
놀이공원에서 볼 수 있는 범퍼카는 자동차끼리 서로 충돌하면서 놀 수 있도록 만든 놀이 기구예요.
범퍼는 충격을 줄여주는 장치를 말하는데, 범퍼카의 범퍼는 두터운 고무 튜브에 공기를 가득 채워서 자동차끼리 충돌했을 때의 충격을 줄여준답니다.
3.3. 회로 이야기
1) CPU란 Central Processing unit의 약자로, 중앙처리 장치라고 해요.,
2) CPU의 핵심부품 반도체에 대해 알아보아요.
(순수한 상태에서는 전기가 통하지 않지만 불순물을 첨가하면 전기가 통해요.)
- 도체 : 전기나 열이 잘 흐르는 물질로써 금,은,구리,철,알루미늄 등이 있고, 다른 말로는 전도체라고 해요.
- 부도체 : 전기나 열이 잘 전달되지 않는 물질로써 종이,나무,유리,고무 등이 있고, 다른 말로 절연체라고 해요.
- 차륜식은 전체적으로 무게가 가벼우며 도로 주행 속도가 빠른 것이 장점이지만 도로가 아닌 곳에서 주행하기가 힘들어요. 반면, 캐도식은 무게가 무겁고 도로 주행 속도는 느리지만 험한 지형에서도 주행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답니다.
8.3. 프로그램 이야기
1) Port On/Off
- LED를 제어할 수 있으며, CPU에 연결된 포트를 직접 제어할 수 있어요.
2) for 반복문으로써 변수를 설정하고 사용해야 해요
3) switch는 분기문으로써 변수를 설정하고 사용해야 해요.
4) case와 default는 swith의 하위 블록이에요.
8.4. 동작 영상
9. 곤충 로봇 장풍이
9.1. 곤충 로봇 장풍이 특징
- 프로보 테크닉 3단계(레벨3)의 장풍이는 곤충처럼 6개의 다리로 이동해요.
- 자신보다 큰 물체도 번쩍 들어 올릴 수 있는 강력한 뿔 공격이 가능한 장수풍뎅이 로봇이에요.
9.2. 탐구활동 : 소바을 책임지는 곤충 로봇
- 딱정벌레와 장수풍뎅이의 공통점으로 딱딱한 껍데기를 들 수 있어요.
- 곤충의 딱딱한 껍데기가 자기 몸을 지키는 것을 이용하여 산불진압용 소방로봇이 개발되고 있다고 해요.
- 소방로봇은 열 감지 센서와 물탱크, 분말소화기를 장착하고 있어 산을 돌아다니면서 열을 감지하여 산불을 예방하고, 일어난 산불을 진압하는 등 아주 고마운 로봇이랍니다.
9.3. 과학 이야기
1) 파동은 진동과 에너지가 사방으로 전달되어 퍼져나가는 것을 말해요.
2) 파동의 종류
3) 소리(음파)는 물체나 공기의 진동으로 인해 전달되는 파동을 말해요.
9.4. 동작 영상
10. 배틀 로봇 헤라클레스
10.1. 배틀 로봇 헤라클레스 특징
- 프로보 테크닉 3단계(레벨3)의 헤라클레스는 그리스 신화에서 가장 힘이 세고 유명한 신의 이름을 따써 만든 배틀 로봇이에요.
- 4개의 DC모터를 이용하여 힘차게 전진할 수 있으며, 2개의 서보모터를 이용하여 강력한 공격을 할 수 있어요.
10.2. 탐구활동 : 배틀 로봇의 구성요소
- 배틀로봇은 크게 모터와 엔진, 전지와 같은 동력전달장치나 회로를 포함한 각종 전자부품, 그리고 로봇을 구동하기 위한 바퀴, 공격 무기와 더불어 내부를 보호하는 외피 등으로 이루어져 있어요. 모터는 일반적으로 바퀴 및 회전형 공격기로 사용되며, 로봇의 외피는 적의 공격으로부터 내부를 보호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돼요.
- 로봇의 외피 재질은 다양하나 풀리카보네이트, 플라스틱, 알루미늄, 철, 티타늄 등이 많이 사용되며, 공격 무기는 들어 올리기형, 튑날 & 송곳을 이용한 공격 등 그 형태가 다양합니다.
10.3. 과학 이야기
1) 2차산업혁명을 이끈 전기
- 증기기관을 이용한 유럽 중심의 산업들이 1870년대 이후 전기의 사용화로 미국으로 이동을 하게 되었어요.
2) 전기를 공급하는 방식은 직류(DC)와 교류(AC)가 있어요.
3) 전기를 전송할 수 있게 한 과학자들
전력 시스템의 표준화를 두고 에디슨(DC) VS 테슬라(AC)의 싸움
1882년 에디슨은 직류발전기를 개발하였지만, 먼 거리까지 송전하기에는 어려움을 겪었어요.
그때 오스트리아에서 은 젊은 과학자 테슬라가 에디슨 회사에서 일하며 해결책을 찾아내게 돼요.
하지만 당시 에디슨은 직류발전기에 투자를 많이 하여 테슬라와 관계가 나빠지게 되고, 테슬라는 회사를 떠나 오게 돼요.
이후 전력시스템의 표준화는 독일 테슬라의 교류방식이 인정받기 시작하자 이에 질투한 에디슨은 여러 가지 방법으로 테슬라를 괴롭히고, 결국 15년간의 다툼 끝에 테슬라의 교류 시스템이 승리하여 현재 우리가 사용하는 다상교류 방식이 국제 표준이 되었어요.
10.4. 동작 영상
7. Level 4
1. 프로보 테크닉 4단계
4단계 로봇은 1, 2, 3단계 부품과 4단계 부품을 함께 사용해야 로봇을 조립할 수 있어요. 1, 2, 3단계 부품을 꼭 챙겨주세요.
2. RF 리모컨 업그레이드
1) 리모컨의 버튼과 RF 그립 모듈을 추가하는 업그레이드 방법에 대해 알아 보아요.
2) 파워 CPU보드에 RF 수신 모듈 장착 방법
3) RF 리모컨 페어링 방법
3. 메카넘 훨 사용방법
1) 메카넘 훨 조립 방법
- 메카넘 훨은 A타입과 B타입이 있는데 두 타입 모두 조립방법은 동일해요.
2) 메카넘 훨 결합 방법
- A휠과 B훨의 방향에 주의해서 조립해요.
3) 메카넘 훨 4륜 구동의 이동방향
- 메카넘 훨은 앞뒤,좌우,대각선 등 원하는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해요.
3. 주제와 제작되는 로봇은 아래와 같습니다.
1. 축구 로봇 사커
1.1. 축구 로봇 사커 특징
- 프로보 테크닉 레벨4단계의 싸커는 전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한 기능성 바퀴(메카넘 휠)를 사용하여 상하좌우는 물론, 옆으로 이동이 가능한 축구 로봇이에요.
1.2. 탐구활동 : 세계 로봇 축구대회
- 한국 KAIST가 주도해 창설한 세계로봇축구연맹(FIRA)에서 매년 'FIRA Robot World Cup'이라는 이름으로 개최하는 로봇축구대회를 말해요.
- 세계 로봇축구대회는 매년 열리고 있으며, 4개 대륙(North America, South America, Europe, Asia-Pacific)의 예선전을 거쳐 세계 대회가 개최되고 있어요.
- 해마다 세계 7-10개국에서 수십여 개의 팀이 참여하며, 토너먼트 형식으로 전후반전 각 5분씩 진행되고 있습니다.
1.3. 테크닉 이야기
1) 프로보 파워 CPU
- 가장 큰 특징은 전원 포트가 두 개여서 배터리 케이스를 두개 사용할 수 있습니다.
- DC모터 4개를 각각 제어할 수 있어요.
- 프로보 파워 CPU의 전원을 켜고, 스타트 스위치를 눌러 로봇을 동작해요.
2) 고속 모터와 모터 연장 케이블
3) 업그레이드 된 RF 리모컨
4) 프로보 메카넘 휠
5) 프로보 스펀지
1.4. 동작 영상
2. 선풍기 로봇 윈디
2.1. 노선풍기 로봇 윈디 특징
- 프로보 테크닉 레벨4단계의 원디는 시원한 바람을 만들어주는 선풍기 로봇이에요.
- 원디의 날개는 고속 모터를 이용하여 바람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어요.
- 서보모터를 이용하여 상하좌우로 바람의 방향을 조절할 수 있어요.
2.2. 탐구활동 : 선풍기의 날개
선풍기에 전기를 공급해주면 전기의 힘으로 선풍기에 달린 전동기(모터)가 회전하고, 전동기는 선풍기의 날개를 회전시켜요.
선풍기의 날개는 아래쪽이 뒤로,위쪽이 앞으로 휘어져 있는데, 날개를 휘어진 방향대로 계속 회전시키면 날개 뒤쪽에 있는 공기가 날개 앞쪽으로 밀려오면서 우리에게 시원한 바람을 내보낸답니다.
2.3. 로봇 이야기
1) 다양한 분야의 로봇
2) 로봇과 4차 산업혁명
- 로봇은 걸어 다니거나 말하는 기능을 뛰어넘어 나날이 발전하고 있고, 로봇 산업은 4차 산업혁명 시대의 핵심 산업분야로 주목받고 있는 미래 산업이에요.
- 최근 인공지능(AI), 5G, 빅데이터 등과 융합되어 로봇이 스마트화되면서 활용 분야도 급속히 확대대고 있어요.
2.4. 동작 영상
3. 2륜 구동 바이크
3.1. 2륜 구동 바이크 특징
- 프로보 테크닉 레벨4단계의 바이크는 level 2의 오토바이 로봇 스쿠터와 다르게 고속 모터 2개와 파워 CPU보드를 장착하여 훨씬 빠른 속도와 큰 힘을 낼 수 있어요.
3.2. 탐구활동 : 싸이카(경찰 오토바이)
싸이카은 경찰이 주로 교통 단속업무에 사용하는 모터사이클로 사이렌이 앞쪽 뱃지형 엠블럼 상단부에 있어 '싸이카'라고 해요.
싸이카에는 경찰사와 대화가 가능한 무전기는 물론, 실시간 위치를 보내는 GPS가 자차에 있어 모든 싸이카 위치 추적과 통제가 가능해요.
그뿐만 아니라 경찰이 업무 진행을 하는데 필요한 각종 장비가 구비되어 있답니다.
3.3. 회로 이야기
1) 콘덴서
2) 콘덴서의 원리
3) 다이오드
4) 발광 다이오드
3.4. 동작 영상
4. 배틀 로봇 블레이드
4.1. 배틀 로봇 블레이드 특징
- 프로보 테크닉 레벨4단계의 블레이드는 고속 모터에 강력한 회전 무기를 장착한 공격형 배틀 로봇이에요.
- 회전 무기를 작동시키면 '윙~'하면서 고속으로 회전이 시작되고, 점점 가속도와 원심력이 증가하면서 강력한 파워로 상대 로봇을 공격할 수 있어요.
4.2. 탐구활동 : 회전 무기형 배틀 로봇
모터를 이용한 회전형 무기를 갖춘 배틀로봇으로 수직 회전 무기형과 수평 회전 무기형이 있어요.
로봇을 조립하는 형태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지만, 수직 회전 무기형은 무기가 세워져 있어 공격 범위가 좁아요.
반면, 수평 회전 무기는 가로형 무기 형태로 구동하는데 안정성이 높으며, 로봇이 뒤집혀도 공격이 가능해요.
또, 파괴력이 높아 공격형 배틀로봇으로 많이 사용하는 방식 중 하나랍니다.
4.3. 회로 이야기
1) 진공관
1883년 에디슨이 백열전구를 개발하던 중 진공상태에서 금속을 가열하면 전류가 흐르는 것을 발견하게 되는데, 이를 '에디슨 효과'라고 해요.
에디슨 효과를 기초로 해서 영국의 플레밍이 진공 유리관 속에 백열전구와 같은 필라멘트와 2개의 금속판 전극(음극과 양극)을 설치하고, 두 극 사이에 전기를 공급하면 전류가 흐르도록 하는 장치, 진공관을 발명하게 되었어요.
2) 우리 생활 속에서 진공관
진공관은 작은 전기 신호를 큰 전기 신호로 증폭시킬 수 있어 초기 라디오나 TV,컴퓨터 등에 사용되었으나 유리관이 깨지기 쉬웠고, 열이 많이 발생했으며, 크기가 커 오늘날의 트랜지스터가 개발되었어요.
3) 트랜지스터
- 라디오의 스피커와 같이 작은 전기 신호를 큰 전기신호로 증폭해주는 전자부품을 말해요.
4) 우리 생활 속에서 트랜지스트
- 트랜지스터는 소리의 증폭 기능이 있어 스피커, 라디오, 스마트폰, 태블릿 PC, 노트북등의 전자 부품으로 사용되고 있어요.
4.4. 동작 영상
5. 자벌레 로봇 웜
1.1. 자벌레 로봇 웜 특징
- 프로보 테크닉 레벨4단계의 웜은 벌레라는 뜻으로 꿈틀꿈틀 허리는 굽혔다 폈다가 하면서 앞으로 나가는 귀여운 자벌레 로봇이에요.
1.2. 탐구활동 : 자벌레
나비, 나방, 그 외 곤충의 유충(애벌레)을 자벌레라고 해요. 자벌레는
배다리가 퇴화되어 운동할 때 몸을 움츠렸다 폈다 하면서 기어 다니며, 주로 나무나 나뭇잎, 풀 등을 먹고 살아요.
그리고 자벌레는 나뭇가지나 나뭇잎에 붙어 사는데, 몸의 색과 모양을 사는 곳과 맞추어 자신을 보호한답니다.
1.3. 기구 이야기
1) RPM
회전하는 물체가 1분 동안 몇 번의 회전을 하는지 나타내는 단위를 RPM이라고 해요.
예를 들어, RPM은 자동차의 엔진 회전 수 또는 컴퓨터의 하드디스크,모터의 회전속도를 나타내는 단위로 많이 쓰여요.
2) 프로보 모터의 RPM
프로보의 DC 모터에는 R-120과 R-300이 있어요. R-120은 모터의 회전축이 1분 동안 120바퀴 회전을 의미하고, R-300은 1분 동안 300바퀴 회전을 의미해요.
R-300은 회전 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고속 모터라고 불리며, 경주용 자동차와 같이 스피드가 필요한 로봇에 사용돼요.
3) RPM 측정기
모터와 선풍기, 믹서기, 세탁기, 자동차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할 수 있는 RPM 측정기에는 레이저 발신부와 수신부가 있어요.
발신부에서 레이저를 발사하고, 수신부에서 물체에 반사되어 되돌아온 레이저를 감지하여 RPM 값을 측정해요.
1.4. 동작 영상
6. 복싱 로봇 타이슨
6.1. 복싱 로봇 타이슨 특징
- 프로보 테크닉 레벨4단계의 타이슨은 빠른잽과 강력한 어퍼컷 펀치를 날릴 수 있는 복싱 로봇이에요.
6.2. 탐구활동 : 복싱
복싱은 권투라고도 부르며, 정사각형 링 안에서 양손에 글러브를 끼고 주먹만을 이용하여 상대방의 얼굴과 몸통 등을 공격하고 방어하며 승패를 겨루는 스포츠예요.
복싱은 공이나 기구를 이용하는 다른 경기와는 달리 순간적으로 두 선수의 공격과 방어가 동시에 일어나기 때문에 민첩성과 순발력을 필요로 하는 경기랍니다.
6.3. 기구 이야기
1) 빗면
- 책상과 의자,선풍기,놀이공원의 놀이기구 등의 우리 생활 고곳에는 나사가 많이 쓰이고 있어요.
- 나사를 잘 살펴보면 몸통이 '빗면'으로 되어있어요.
2) 프로보 테크닉의 볼트와 드라이버
프로보 테크닉의 로봇을 조립할 때 사용하는 작은 볼트와 볼트를 조이기 위해 사용하는 드라이버에도 빗면이 있어요.
드라이버의 끝을 살펴보면 비스듬히 뾰족하게 되어있어 볼트를 쉽게 조이고, 풀 수 있어요.
3) 우리 생활 속에서 빗면
6.4. 동작 영상
7. 배틀 로봇 더블스피어
7.1. 배틀 로봇 더블스피어 특징
- 프로보 테크닉 레벨4단계의 더블스피어는 앞뒤로 공격 무기가 달린 배틀 로봇이에요.
- 더블스피어의 두 공격 무기는 빗면 형태로 자유자재로 들어 올릴 수 있는 특징이 있어 상대 로봇을 밀어내기는 물론, 들어올리거나 뒤집기 공격이 가능한 강력한 배틀 로봇이에요.
7.2. 탐구활동 : 빗민형 배틀 로봇
빗면을 갖춘 형태의 배틀로봇으로 공격과 수비가 모두 가능해요.
빗면형 배틀로봇은 상대 로봇의 밑부분을 파고들어 밀어내는 공격이 가능하며, 한 번 밀어내면 상대 로봇이 빠져나오기 어렵다는 장점을 지니고 있어요.
또, 빗면을 이용하여 상대 로봇의 공격을 흘려보내거나 회전 무기에 대한 저항력을 갖추고 있어 수비에도 효율적이랍니다.
7.3. 프로그램 이야기
1) 자료 구조
2) 자료 구조의 종류
3) 트리 구조
컴퓨터에서도 이런 구조로 폴더를 사용해서 자료를 저장해요.
C 드라이브 안에는 수많은 폴더들이 존재하고, 특정 폴더 안에 들어가면 또 수많은 폴더와 파일들로 나뉘어 있어요.
트리 구조는 복잡하고 많은 파일들을 알아보기 쉽게 정리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사용하는 목적이나 중요도에 맞게 나열할 수 있기 때문에 많이 사용하는 자료 구조예요.
7.4. 동작 영상
8. 미션 로봇 로드그랩
8.1. 미션 로봇 로드그랩 특징
- 프로보 테크닉 레벨4단계의 로드그랩은 물건을 집어 짐칸에 싣는 미션용 로봇이에요.
- 로드그랩은 메카넘 휠을 사용하여 상하좌우는 물론, 바로 옆 이동 등 전 방향 이동이 가능해요.
8.2. 탐구활동 : 미션 로봇
- 제한 시간 안에 주어진 미션을 수행하는 로봇을 뜻해요.
- 로봇 미션에는 목표물을 정해진 구역으로 운반하기·볼을 큐브에 올리거나 상대팀에게 많이 넘기기·라인 따라가기·길 찾기·계단 오르기 등 미션의 종류는 다양하며, 미션에 따라 게임 방법이나 규칙, 그리고 로봇의 형태와 기능 등이 달라진답니다.
8.3. 프로그램 이야기
1) SOUND(사운드)
2) ONCE와 REPEART의 차이점
8.4. 동작 영상
9. 목도리 도마뱀 로봇 또리
9.1. 노래하는 부엉이 새요 특징
- 프로보 테크닉 레벨4단계의
9.2. 탐구활동 : 목도리 도마뱀
목도리도마뱀은 나무 위에서 살면서 곤충이나 거미류를 잡아먹어요.
몸길이는 60~90cm로, 날씬하고 긴 꼬리가 있으며, 머리는 작고 몸은 비늘로 덮여 있어요.
목도리도마뱀은 목 주름이 많은데, 목 주름은 암컷을 유인하거나 체온을 조절할 때, 그리고 적이 나타나면 목 주름을 우산처럼 활짝 펴고 위협해요.
그리고 위험을 느끼면 뒷다리로 서서 빠르게 나무 위로 도망간답니다.
9.3. 과학 이야기
1) 에너지와 에너지 전환
2) 롤러코스터의 에너지 전환
3) 원심력이란?
원운동을 하는 물체에 나타나는 관성력으로, 원의 중심에서 멀어지려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을 말해요.
쇼트트랙 선수들이 빠르게 곡선 구간을 돌 때 선수들은 곡선의 중심과 반대 방향으로 작용하는 원심력을 받게 돼요.
그래서 선수들은 원심력을 극복하기 위해 몸을 최대한 안쪽으로 기울여요.
4) 원심력과 중력을 이용한 실험
물이 들어 있는 양동이를 천천히 돌리면 물이 쏟아지지만, 아주 빠르게 돌리면 물이 쏟아지지 않아요.
이것은 양동이를 빠르게 회전 시킬 때 발생하는 원심력이 중력보다 크게 작용하기 때문에 물이 쏟아지지 않는 거예요.
9.4. 동작 영상
10. 청소 로봇 크리링
10.1. 청소 로봇 크리링 특징
- 프로보 테크닉 레벨4단계의 크리링은 우리 주변의 쓰레기를 쓸어 담을 수 있는 청소 로봇이에요.
- 쓰레기를 쓸어 담는 속도를 빠르게, 또는 느리게 조절 할 수 있어요.
- 청소가 끝나면 쓰레받기를 들고 이동해서 목적지에 쓰레기를 쏟아버릴 수 있어요.
10.2. 탐구활동 : 로봇 청소기
스스로 사물을 인식하고 움직이며, 먼지를 흡입 & 물걸레 청소를 하는 로봇 청소기예요.
초음파, 적외선, 범퍼 등 다양한 센서를 장착하고 있어 장애물을 감지하고, 장애물에 대한 거리를 판단하여 충돌을 피해 청소할 수 있어요.
또, 자동 충전 기능을 갖추고 있어 방전되기 전에 스스로 충전장치를 찾아가 충전할 수 있는 지능형 로봇이랍니다.
10.3. 과학 이야기
1) 자동물시계 '자격루'
2) 자격루 동작 원리
3) 자격루 과학 원리
4) 과학자 장영실
장영실은 조선에 귀화한 중국인 아버지와 노비 신분의 어머니 사이에 태어나 어머니의 신분을 따라 노비가 되었어요.
어려서부터 물건을 고치는 솜씨가 뛰어나 태종 때 궁중 기술자로 뽑혀 일하게 되었고, 그의 재능을 알아본 세종은 장영실이 과학 기구를 개발할 수 있도록 끊임없이 지원해주며, 노비 신분에서 벗어나 상의원 별좌라는 관직에까지 오를 수 있게 도와줬어요.
장영실은 조선 시대 과학자라 불릴 만큼 과학 분야에서 뛰어난 업적을 많이 남겼는데, 자동 물시계 자격루 외 천문을 관측하여 계절을 알 수 있게 도와준 간의와 혼천의, 해시계 앙부일구, 하천의 범람을 막기 위해 비의 양을 재는 측우기 등을 개발하였답니다.
10.4. 동작 영상
8. Level 5
1. 프로보 테크닉 5단계
5단계 로봇은 1~4단계 부품과 5단계 부품을 함께 사용해야 로봇을 조립할 수 있어요. 1~4단계 부품을 꼭 챙겨주세요.
2. 테크닉 5단계(레벨5)에 새롭게 들어가는 부품
1) 오프로드 바퀴
오프로드 바퀴는 고무 타이어 표면에 미끄럼을 방지하는 돌기가 있고, 타이어 안쪽에는 공기와 스펀지를 이용하여 장애물로부터 충격을 완화하도록 푹신푹신하게 만들어져서 지면이 고르지 못한 험난한 지형에서도 원활한 이동이 가능합니다.
2. 캐터필러와 캐터와이어
캐터필러는 여러 개를 연결하여 지게차의 리프트 체인이나 탱크의 바퀴(무한궤도)로 사용합니다.
캐터필러에 부착된 캐터 타이어는 미끄럼을 방지하여 평지뿐만이 아니라 기울어진 사면에서도 이동할 수 있게 해줍니다.
3) 기타 새로운 부품
작은 톱니와 큰 톱니 : 축에 연결되어 회전이나 동력을 전달하는 장치예요. 주로, 캐터필러와 함께 사용해요.
아이들링 : 주로 작은 톱니, 큰 톱니와 함께 사용하며 톱니보다 조금 더 매끄럽게 회전력이나 동력을 전달해요.
축 (200mm) : 막대 모양의 부품으로 바퀴와 바퀴를 연결하여 동력을 전달하거나 수직운동을 하는 물체의 기둥이 돼요.
조정부싱과 슬라이드부싱 : 가운데에 구멍이 뚫려있는 부품으로, 부싱에 축을 끼워 수직운동을 하는 로봇을 조립할 때 사용해요.
특히, 조정부싱은 바퀴로 사용된 아이들링이 좌우로 이동하지 않게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기도 해요.
탄력판과 12X16프레임 : 탄력판은 투명한 판으로, 탄력판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물체를 발사하는 용도로도 사용해요.
12X16프레임은 베이스 프레임으로, 큰 로봇의 기본 뼈대로 사용해요.
3. 주제와 제작되는 로봇은 아래와 같습니다.
1. 오프로드 로봇 리버스
1.1. 오프로드 로봇 리버스 특징
- 프로보 테크닉 레벨5단계의 리버스는 큰 오프로드 바퀴를 사용해요.
- 차체의 위·아래가 비슷한 구조로 되어있어 장애물에 로봇이 뒤집어져도 문제없이 주행이 가능한 로봇이에요.
1.2. 로봇 과학 이야기
1) 오프로드와 온로드
- 오프로드(Off Road)는 흙이나 모래, 자갈, 바위 등이 있는 자연상태 그대로의 비포장도로를 말해요.
오프로드에서 주행하는 차는 크고 튼튼하며, 흙이 파여있는 타이어를 사용하여 울퉁불퉁한 길에서 달리고 점프할 수 있어요.
- 온로드(On Road)* 매끈하게 포장된 아스팔트 도로를 생각하면 돼요.
온로드에서 주행하는 차는 대부분 차체가 낮고, 넓고 매끈한 타이어를 사용하여 안정적인 코너링과 빠른 스피드를 낼 수 있어요.
리버스(Reverse)는 '정반대로 뒤바꾸다'라는 뜻을 가진 로봇으로, 장애물이나 벽을 타고 올라가다가 반대로 뒤집어져도 문제없이 주행이 가능해요.
또, 커다란 광폭 휠과 돌기가 있는 스파이크 타이어 덕분에 울퉁불퉁 험한 지형에서도 거침없이 주행할 수 있는 오프로드 로봇이랍니다.
- 헤지호그(고슴도치)
리버스처럼 뒤집어져도 주행할 수 있는 로봇은 어떻게 활용할 수 있을까요?
리버스에 카메라를 설치하여 화재 장소에서 수색이나 구조에 사용하거나 우주 탐사로봇으로 활용하는 것은 어떨까요?
리버스처럼 4륜 구동 오프로드 자동차는 아니지만, 뒤집어져도 동작이 가능한 탐사로봇이 있다고 해요. 바로,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과학자들이 개발한 헤지호그(고슴도치) 탐사로봇이에요.
기존의 탐사로봇은 바퀴에 체인을 담아 이동하므로 로봇이 뒤집어질 경우 작동이 어려운 점이 있었는데, 헤지호그는 바퀴나 다리가 없는 주사위 모양의 소형 탐사로봇으로 점프하거나 구르고, 뒤집는 동작이 가능하여 어떤 지표면에서도 운용이 가능하다고 해요.
1.3. 동작 영상
2. 하키 로봇 캐넌슈터
2.1. 하키 로봇 캐넌슈터 특징
- 프로보 테크닉 레벨5단계의 캐논슈터는 고속모터에 오프로드 바퀴를 장착하여 매우 빠른 속도로 주행해요.
- 탄력판의 탄성을 이용하여 강력한 슛을 쏘는 하키 로봇이에요.
2.2. 로봇 과학 이야기
1) 스포츠 ‘아이스하키’에 대하여 알아보아요.
- 아이스하키는 직사각형의 빙상에서 두 팀이 스틱으로 퍽(고무로 만든 원판)을 쳐서 상대팀의 골대에 넣는 스포츠예요.
- 한 팀에 골키퍼 1명, 수비수 2명, 공격수 3명이 필요해요.
- 경기는 20분을 1피리어드로 하여 3피리어드의 총 60분 경기를 하며, 피리어드와 피리어드 사이에는 휴식 시간 15분이 주어져요.
- 아이스하키 선수들은 스케이트나, 스틱, 퍽 등으로 몸을 보호하기 위해 어깨와 가슴, 정강이 부분에 보호대를 착용하며, 헬멧과 두꺼운 장갑을 착용해요.
2) 탄성
- 하기 로봇 ‘캐넌슈터’는 탄력판의 탄성을 이용하여 강력한 솟을 발사할 수 있어요.
- 탄성이란 무엇일까요? 외부의 힘에 의해 길이나 모양이 변한 물체가 이 힘이 제거되었을 때 원래의 상태로 되돌아가려고 하는 성질을 말해요.
3) 우리 일상 속의 탄성력
- 탄성이 강한 물체에는 고무줄과 용수철이 있어요.
고무줄의 탄성을 이용한 물체에는 고무풍선과 머리끈, 양말이 있으며, 용수철의 탄성을 이용한 물체에는 번지점프용 줄, 트램펄린, 용수철 저울, 완력기 등이 있어요.
2.3. 동작 영상
3. 전차 로봇 파이어탱크
3.1. 전차 로봇 파이어탱크 특징
- 프로보 테크닉 레벨5단계의 파이어탱크는 구동모터에 큰 톱니와 캐터필러를 장착하여 전차의 구조를 이뤄요.
- 캐터필터의 가이드 역할을 하는 아이들링과 축은 로봇 앞쪽에 2단 구조로 되어있어 경사면과 장애물을 넘어 주행할 수 있어요.
3.2. 로봇 과학 이야기
1) 무한궤도
무한궤도(캐터필러)는 2개 이상의 바퀴에 여러 개의 철판을 연결한 궤도를 바퀴에 연결하여 사용하는 추진 방식이에요.
바퀴에는 톱니가 있어 톱니를 궤도의 구멍에 연결하여 바퀴가 돌아갈 때 궤도도 함께 돌아가게 하는 방법으로 차량을 움직여요.
2) 무한궤도의 쓰임
무한궤도는 타이어보다 표면적이 넓어 차량의 무게를 잘 분산시키기 때문에 땅을 누르는 압력이 낮아 무른 땅에서도 가라앉지 않으며, 험난한 길에서도 주행이 가능하기 때문에 군사용 전차나 불도저, 굴삭기, 트랙터 등의 중장비 차량에 많이 사용돼요.
3) 무게(힘)의 분산
사람들이 달걀 위를 걸어가는 모습을 본 적이 있나요?
어떻게 달걀이 깨지지 않고, 그 위를 사람이 걸을 수 있을까요?
여기에는 ‘무게(힘)의 분산’이라는 과학 원리가 숨어있어요.
달걀 하나는 사람의 몸무게를 견디지 못해서 쉽게 깨지지만, 달걀을 여러 개 놓으면 사람을 지탱하고 있는 달걀 하나하나가 사람의 몸무게를 균일하게 분산시켜서 쉽게 깨지지 않는 거예요.
- 무한궤도 : 군사용 전차는 바퀴로 사용된 여러 개의 철판들이 무거운 차량의 무게를 분산시키기 때문에 무른 땅 위에서도 빠지지 않아요.
- 스키 : 눈 위를 걸으면 발이 빠지지만, 스키를 신으면 스키의 긴 날이 무게를 분산시키기 때문에 빠지지 않아요.
- 침대 매트리스 : 매트리스 안에는 여러 개의 용수철이 들어있어 사람의 몸무게를 나누어 지탱하기 때문에 쉽게 꺼지지 않아요.